티스토리 뷰
전세계약 만료일이 다가오면 많은 세입자분들이 고민에 빠지시죠. "계약을 어떻게 연장해야 할까?", "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방법은 뭘까?" 이런 질문들이 머릿속을 맴돕니다. 오늘은 이런 고민을 해결해드리고자 전세계약 연장에 관한 핵심 개념들과 전세계약연장 시 꼭 확인해야하는 필수 5가지 체크사항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.

- 전세계약 연장 용어 쉽게 알아보기
- 전세계약 연장 핵심 체크 포인트 5가지
전세계약 연장 용어 및 주의사항 쉽게 알아보기
- 묵시적 갱신 : 묵시적 갱신이란 말 그대로 '아무 말 없이 이뤄지는 연장'입니다. 집주인과 세입자 양쪽 다 아무 말 없이 계약 만료일이 지나가면, 자동으로 2년 더 살 수 있게 되는 거죠.
- 묵시적 갱신 주의할 점:
집주인은 계약 만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"더 이상 못 살아요"라고 말해야 합니다.세입자는 언제든 "나갈게요"라고 말할 수 있고, 3개월 안에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- 계약갱신청구권 : 계약갱신청구권은 세입자가 "2년 더 살게요"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. 2020년에 새로 생긴 이 제도 덕분에 세입자들의 주거 안정성이 한층 높아졌죠.
- 계약갱신청구권 주의할점:
첫 2년 살고 나서 한 번 더 쓸 수 있는 '1회용 쿠폰'입니다. 계약 만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 사이에 사용해야 합니다.
집주인과 협의해 최대 5%까지 월세나 보증금을 올릴 수 있습니다.
- 묵시적 갱신 vs 계약갱신청구권: 무엇이 다를까?
묵시적 갱신: 아무 말 없이 가만히 있어도 됩니다.
계약갱신청구권: "더 살고 싶어요"라고 적극적으로 말해야 합니다.
전세계약 연장 핵심 체크 포인트 5가지
1. 등기부등본 3회 확인
확정일자 이후 설정된 근저당·가압류 여부 확인 (후순위 배당 방지)
법원등기정보광장에서 5분 내 PDF 열람 가능
2. 증액금 이체 시 필수 증빙
기존 계약서에 "기존 00억 원 → 00억 원으로 증액" 명시적 기록
은행 이체내역서에 '전세보증금 증액분' 반드시 기재
3. 대출 연장은 60일 전
은행별 상이한 서류 처리 기간 고려 (최소 1개월 소요)
협의 시기 늦어지면 집주인 갑작스런 증액 요구 가능성 ↑
4. 서면합의서 필수 작성
구두 약속 무효! 반드시 아래 내용 포함
▸ 연장 방식 (묵시적/청구권/재계약)
▸ 기존 계약 대비 변경 사항
▸ 확정일자 재발급 여부
5. 전문가 리뷰 1회
법률복지재단(http://law.fund.or.kr)에서 1시간 3만 원 상담권 활용
등기부등본·계약서 동시 검토 받을 것
전세계약 연장, 묵시적 갱신, 계약갱신청구권... 이런 용어들이 어렵게 느껴지셨나요? 하지만 이제 이 개념들을 이해하셨다면, 여러분의 주거권을 더 잘 지킬 수 있을 거예요. 집은 우리 삶의 기본이니까요. 여러분의 권리를 잘 알고 현명하게 사용하세요.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언제든 물어보세요!
'HOU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2025년 토지거래허가제도에 대한 모든 것> (0) | 2025.03.22 |
---|---|
주택연금 한 눈에 알아보기 <가입조건, 보증료, 보증기한, 주택연금수령방식 > (0) | 2025.02.15 |
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한 눈에 알아보기! <자격조건, 대출금리, 기간, 한도> (0) | 2025.02.10 |
2025년 HUG전세금보증보험 필요/가입조건/비용/꿀TIP (0) | 2025.02.06 |
전세계약 유의사항 총정리 /전세계약에 넣으면 좋은 특약/전세특약사항7가지/전세계약주의사항 (1) | 2025.02.04 |
전세계약갱신청구권 <정의/사용조건/사용절차> (2) | 2025.02.02 |
상생임대인제도 26년까지 연장! 조건/제도/혜택 (feat.착한임대인법) (0) | 2025.02.02 |
2025년 최신 청년안심주택 신청 조건 및 입주자격 신청방법 한 번에 알아보자 (1) | 2025.02.01 |